이정훈 교수, 윤석열 대통령 ‘성탄절 발언’ 해설

지난 성탄절, 윤석열 대통령이 어린 시절 출석하던 교회를 찾아 “법학을 공부해 보니, 헌법 체계나 모든 질서, 제도가 다 성경 말씀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모든 문명과 질서가 예수님의 말씀에서 나온 것”이라고 발언했다. 공식적으로 기독교인도 아닌 대통령으로서는 이례적인 발언이었다.
언론 보도로만 알려진 김진욱 공수처장의 ‘시무식 돌발 찬송 독창’에까지 ‘종교편향’을 내세우며 사과를 요구한 불교계도, 정작 훨씬 편향적으로 보일 수도 있는 대통령의 해당 발언에는 아무 반응을 하지 못했다. 종교편향 시비를 걸 수도 없는 ‘팩트’의 영역이기 때문일 것이다.
본지는 윤석열 대통령의 해당 발언을 계기로, 이정훈 교수(울산대)를 만나 서양 법과 정치 체계 전반에 미친 기독교의 영향에 대해 들었다. ‘불교계 브레인’으로 일하다 회심 후 지난해 목사 안수까지 받은 이정훈 교수는 성경적 가치를 삶으로 실천하는 ‘성경적 세계관 교육 PLI 스터디클럽’을 통해 기독교계에 새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서구 문명, 기독교 없이 설명 불가
폴 존슨, 법치주의 모델 모세 꼽아
구약 율법, 인간 생명 인격권 존중
-정말 헌법 체계나 모든 질서 제도가 다 성경 말씀에서 나왔나요.
“사실 서구 문명이라는 게, 기독교를 빼놓고는 설명이 안 됩니다. 제가 PLI 사역을 하면서도 강조했지만,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전 영역에서 성경이 끼친 영향력은 엄청나죠. 다 설명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다 성경에서 나왔다’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쓸 수 있는 것은, 이것이 윤 대통령만 했던 말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당장 법치주의 하나만 봐도, 역사학의 거장 폴 존슨(Paul Bede Johnson)이 <유대인의 역사>에서 ‘유대·기독교 문명이 아니면 법치주의를 정착시킬 수가 없었다’고 소개합니다.
이것은 ‘기독교가 우월하다’ 같은 우열의 문제가 아닙니다. 오해하시면 안 되고요. 중국 문명에서는 법치주의 전통을 찾기 어려워요. 법을 수단으로 사용해서 통치하는 것은 법치주의가 아닙니다. 그러면 진시황도 법치주의가 되지요.
법에 따라 강력하고 엄격하게 통치한다는 ‘법에 의한 지배(Rule by Law)’ 사상은 중국 문화권에도 있었지만 ‘법의 지배(Rule of Law)’, 법치는 차원이 다릅니다. 인간이 자의적으로 통치하지 않고 법의 정신과 원칙에 따라 질서가 유지된다는 거죠.
로마 제국도 법이 발전했지만 우리 기독교 세계관, 그러니까 성경의 가르침을 통해 정착한 법치와 자유민주주의는 헌법의 역사를 공부하다 보면 다 알게 되죠. 대통령께서도 법률가시니까 그 이야기를 하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미션스쿨인) 대광초등학교를 나오고, 어린 시절 교회를 다니셨잖아요. 그러니까 익숙하실 거고, 아버님이 경제학자이기도 하시고요.
PLI 성경적 세계관 교육 이전에는 여러 교회에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쓴 막스 베버(Max Weber)도 잘 모르셨고, 맑스(Marx, 마르크스)로 알고 읽지 말라던 분도 있었죠(웃음). 서구에 자리잡은 기독교 사상은 경제 원리뿐 아니라 정치 원리가 더 강합니다.”
-폴 존슨 박사님은 구체적으로 뭐라고 했나요.
“폴 존슨은 법치주의의 원 모델로 모세를 뽑아요. 구약의 모세는 왕이 아니죠. 성경을 읽고 가르침을 받은 유대 기독교 문명에서는 익숙하지만, 사실 독특하고 설명이 불가능한 구조입니다. 하나님이 말씀으로 직접 통치하신다는 의미가 굉장히 강하죠. 구약에선 전제정(專制政)처럼 왕이 권력을 갖는 자의적 통치를 추구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세우신 모세에게 법, 말씀을 주셔서 모세를 통해 직접 통치하는 방식입니다.
잘 모르는 사람들은 함부로 구약 성경이 잔인하다고 비판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율법은 인격을 소중히 하고 인간의 생명권을 존중하는 하나님의 법입니다. 당시 근동 지역에 율법과 비슷한 제도가 많았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지만, 결정적 차이가 바로 생명권 존중입니다.
이런 전통이 시대가 점점 발전하면서도 빛을 발합니다. 종교개혁 중 칼빈의 공화주의가 나오죠. 사회 정치 제도와 교회 정치가 떼려야 뗄 수 없어요. 아쉬운 점은 우리나라에 장로교회가 많은데, 웨스트민스터 총회가 영국 정치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도 제대로 연구가 돼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PLI에서 사무엘 러더포드(Samuel Rutherford) 같은 선각자들에 대해 조명한 바 있습니다. 불과 1600년대에 그가 <법이 왕이다(Lex Rex)>라는 책을 써요. 이 사무엘 러더포드가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스코틀랜드 대표로 참여해요. 신학자이면서 굉장한 통찰력이 있었는데, 이 러더포드의 정신이 후일 미국 건국으로까지 이어진 것입니다.<중략>
종교신문1위 크리스천투데이 기사 전문 -->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52398
“성경과 기독교 없이는, 인권 등 기본권 역사 설명 못해”
지난 성탄절, 윤석열 대통령이 어린 시절 출석하던 교회를 찾아 “법학을 공부해 보니, 헌법 체계나 모든 질서, 제도가 다 성경 말씀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
www.christiantoday.co.kr
'한국교회 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적 지향·성별 정체성’, 서울 학생인권조례에서 빠지나 (0) | 2023.02.03 |
---|---|
정서영 단독 후보 “한기총 정상화되면, 통합은 따라올 것” (0) | 2023.02.03 |
순교자의소리 “北, 복음 방송 전파 방해 확대” (0) | 2023.02.02 |
[2023년 신년 대담] ‘설교의 대가’ 박조준 목사 (中) (0) | 2023.02.01 |
<파인애플 공부법> 펴낸, 만방국제학교 최하진 박사 (上)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