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훈 목사와의 대담에서 기독사학의 역할 강조
빠른 연산속도, 늘어난 데이터, 모든 게 연결된 시대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 ‘기민성’과 ‘회복탄력성’ 꼽아
‘논리적 사고력’, ‘리더십’, ‘다양·포용의 성품’ 중요시
논리·사회학만으론 부족… 제대로 된 기독 교육 필요
“구글이 인재를 채용할 때 평가하는 첫 번째는 ‘논리적 사고력’이다. 하지만 이는 일반 논리학이나 사회학으로만 가르칠 수 없다. 변하지 않는 진리에 기초한 분별력이 필요하다.”
구글 김경훈 사장이 미션네트워크 이사장 이재훈 목사(온누리교회)와 가진 대담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사장과 이재훈 목사와의 대담은 사전에 녹화돼 21일 오후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2022 사학미션 컨퍼런스’에서 공개됐다.
미션네트워크 함승수 사무총장의 사회로 진행된 대담에서 김 사장은 세계적인 그룹의 리더답게 향후 펼쳐질 미래 사회의 변화를 진단하고, 시대를 선도하는 다음세대 인재들에게 필요한 자질을 제시했다. 진리에 바탕을 둔 논리적 사고력을 가진 인재 양성과 이를 가능케 할 기독교 사학만의 역할과 중요성도 강조했다.
김경훈 대표는 “감사하게도 학창 시절 하나님을 믿는 담임선생님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저는 중학교 3학년 때 수학을 가르치는 담임선생님께 많이 배우고, 그분이 제게 부족한 부분들을 알려 주신 덕에 과학고에 진학하고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게 됐다”고 했다.
그는 IT 업계에서 보는 대표적인 변화의 흐름 세 가지오 첫째, 컴퓨터 기술 등의 발달로 처리할 수 있는 연산 속도가 빨라지고, 둘째, 쌓이는 데이터의 양이 급속히 늘어나며, 셋째, 이 모든 것이 빠르게 연결되는 시대가 됐다고 했다.
그는 “필연적으로 기계 학습을 통해 AI의 발전이 가속화되며, 모든 것이 더욱 개인화되고,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될 것이다. 예전에는 대량 생산시대에서 소량 다품종 사회로 변했다면, 이제는 개개인별로 상품을 주문하고 받는 다변화사회가 될 것”이라며 “나아가 인간과 AI와 같은 기계가 함께 일하는 사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김 사장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으로 먼저 ‘기민성’을 꼽았다. 그는 “빠른 변화에 빠르게 올라타고 판단하는 능력”이라고 했다. 다음으론 ‘탄력 회복성’을 지적했다. 그는 “큰 변화에 빠르게 움직이다 보면 실패할 때가 많다 그때 좌절하지 않고 다시 일어나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이러한 새로운 역량도 있지만 기본적인 역량이 중요하다. 기업들이 인재를 뽑는 기준은 크게 바뀌지 않고 있다”며 “첫째는 논리적인 사고력, 두 번째는 리더십, 세 번째는 성품”이라고 했다. 특히 성품과 관련, “사회가 다양해지면서 다양성·포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적과 성별, 피부, 장애와 관계없이 존중하고 함께 일할 수 있는 이들을 많이 찾는 시대가 됐다”고 했다.
김 사장은 ‘다변화’, ‘초개인화’ 사회에서 기독교학교의 역할을 주문했다. 그는 “학생들에겐 자신의 재능에 맞춰 학교가 도와 주길 바라는 갈망이 있다. 예를 들어 방학 전후로 학생 개개인에게 맞춰 수업과 프로젝트를 하는 것”이라며 “이런 것을 통해 개개인의 자질이 발현되고 하나님께서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주신 달란트가 개발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 “다양성과 관련, 요즘에는 팀 프로젝트가 많아졌다. 저 역시 학창 시절 팀 프로젝트를 할 때 항상 친한 친구랑 하게 되었다”며 “의도적으로라도 다양한 학생들이 함께 섞여, 친하지 않은 친구와도 기꺼이 프로젝트를 함께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드는 것도 좋다”고 했다.
김 사장은 진리에 기초한 올바른 분별력과 사고력 함양을 기독 사학들에게 주문했다. 그는 “저희는 인재를 채용할 때 첫 번째로 논리적 사고력을 평가한다. 하지만 논리적 사고력은 논리학이나 사회학으로 가르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며 “제대로 된 기독교 교육이 필요하다. 말씀과 변하지 않는 진리에 기초한 분별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하지만 이를 제대로 교육받는 경우는 많지 않다”며 “기독교 학교가 다음세대를 말씀에 근거해 제대로 된 사고와 판단을 할 수 있는 인재를 길러 달라. 나아가 다양성과 포용성을 기독교학교에서 먼저 경험한다면 사회를 리드할 훌륭한 인재들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
김 사장은 끝으로 “선교사님들이 이 땅에 교회와 학교를 세우고, 이를 통해 인재들이 자라났다. 하나님의 은혜로 우리나라가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며 “그 일에 함께하시는 기독교 학교 구성원들게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 주님이 주신 선한 뜻을 잊지 말고 이 땅의 유일한 자원인 차세대를 키워 달라”고 말했다.
종교신문1위 크리스천투데이 기사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51189
김경훈 사장 “구글이 바라는 인재상, 기독교 교육이어야 가능”
고교서 스스로 탐구하는 능력 기를 수 있던 것 감사 빠른 연산속도, 늘어난 데이터, 모든 게 연결된 시대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 ‘기민성’과 ‘회복탄력성’ 꼽아 ‘논리적 사고력’, ‘리더
www.christiantoday.co.kr
'한국교회 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개국 15,587교회 참여, 1,132만 조회… 2022 다니엘기도회 성황 (0) | 2022.11.23 |
---|---|
‘은혜’ 작사·작곡 손경민 목사 “어릴 적 가정 깨지고 가난해도, 행복한 이유는” (0) | 2022.11.22 |
한장총 대표회장 정서영 목사, 상임회장 천환 목사 취임 (0) | 2022.11.18 |
“이태원 참사, 국민의 슬픔을 분노로 돌리지 말라” (0) | 2022.11.16 |
박주환 신부도 ‘정직’ 징계… 성공회 김규돈 신부보단 약해 (0) | 2022.11.16 |
댓글